오늘은 iot를 적용한 산업안전에 대해 적어보고자 합니다.
iot라는internet of things라고 해서 사물인터넷이라고 부릅니다.
핵심적인 운영방식은 사물 기기가 인터넷과 접촉해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이라 생각하시면 편할 것 같습니다.
제가 사물인터넷에 대해 알게된 계기는 제가 다니는 회사가 iot기업이기 때문입니다.
현재 근무하고 있는 회사는 ㈜레이컴 이라는 iot회사로 산업안전 분야에서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.
산업안전을 어떻게 추구하느냐?
㈜레이컴은 위치관제서비스를 기반으로 근로자들의 위치를 파악하여, 사전에 위험지역에 진입하는 것을 통제하게 하고,, 긴급신호를 자동적, 또는 수동적으로 보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합니다. 예를 들어 근로자가 일과시간 이후 작업장 안에 있을 경우, 해당 인원에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, 현장 관리자가 인원들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. 근로자들의 위치는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.
어느 업종에 적합하냐?
위치관제를 통한 안전을 추구할 수 있는 업종은 건설현장, 조선소, 토목현장, 해운, 철강, 해운 등이며, 항만(국가중요시설) 등에서도 안전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.
고객 현장
현재 산업안전솔루션을 적용하고 있는 현장은 정부청사가 지어지고 있는 세종시, 평택 동부 고속도로, 선원들의 안전을 적용한 외항 출항 선박 등이 있으며, 그 외 여러 철강사들과 시스템 도입에 대해 실무적인 협의가 논의되고 있습니다.
주된 고객사들은 2차 산업을 근간으로 하고 있는 기업들입니다.
산업안전을 추구해야 하는 이유
작업자 관점
매년 많은 작업들이 작업현장에서 기기 정비 중 위치 파악이 되지 못하여
사건 사망사고가 발행하고 있습니다. 만약 위치관제서비스를 통해서 근로자들의 위치를
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면,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.
2. 관리자 관점
작업자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에 따라 작업자 관리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
다. 외부 및 내부 인원 구분을 비롯하여 현재 작업인원들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.
3. 기업 및 ceo 관점
2021년 1월 26일 중대재해법이 제정이 되어 2022년 1월부터 해당 법을 준수해야 합니다.
ceo 및 경영진은 산업현장에 모든 곳을 확인할 수 없는데 책임을 져야 하는 법이 제정된
것입니다. 만약 근로자들의 위치관제를 통하여 산업안전을 확보한다면 그것 역시 좋은
투자라고 생각이 됩니다.
㈜레이컴은 어떤 회사냐?
2015년에 설립하여 산업안전 분야를 프론티어 적으로 이끌고 있는 회사입니다.
만약 산업안전에 대해 알아보고 싶으실 경우 연락 바랍니다..
감사합니다.
이정환 담당자
e-mail : jeonghwan@emro.co.kr
'직장에서 살아남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새해 목표 리스트 정하기 (0) | 2022.01.02 |
---|---|
장교 임관 전 병과 및 격오지, 접전 지역 선택 전 필수 알아야 하는 사항 (0) | 2021.12.27 |
취업에 필요한 자격 알아보자 (0) | 2021.12.23 |
전산회계 2급 자격증 직장인 취득 스토리 (합격 및 팁) (0) | 2021.12.22 |
회사 고르는 방법 (총무 업무) (0) | 2021.12.21 |